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츠자카 케이코

덤프버전 :


마츠자카 케이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NHK 로고.svg 大河ドラマ シリーズ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주연배우
1984년 1985년 1986년
마츠모토 코시로
(松本幸四郎)
니시다 토시유키
(西田敏行)
마츠자카 케이코
(松坂慶子)
미타 요시코
(三田佳子)
산하 타오르다
(山河燃ゆ)
봄의 파도
(春の波涛)
생명
(いのち)

마츠자카 케이코의 수상이력
[ 펼치기 · 접기 ]

엘란도르상 신인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6년이케우치 준코, 이시하라 유지로, 카와구치 히로시, 쿠사나기 고지로, 시라카와 유미, 스기타 히로코, 타카쿠라 켄
1957년단 레이코, 에하라 신지로, 키타자와 노리코, 나카다이 타츠야, 시라카와 유미, 모리 미키, 츠구바 히사코, 카와사키 케이조
1958년아사오카 루리코, 카노 준코, 아사오카 루리코, 쿠와노 미유키, 오오조라 마유미, 사토 마코토, 치노 카쿠코
1959년혼고 코지로, 호시 테루미, 미즈키 조, 나카타니 이치로, 나츠키 요스케, 시미즈 마유미, 야마모토 토요조

196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60년아카기 케이이치로, 후지마키 준, 호시 유리코, 카와구치 토모코, 마츠카타 히로키, 미카미 신이치로, 요시다 테루오
1961년이와시타 시마, 카야마 유조, 미타 요시코, 타미야 지로, 야마자키 츠토무, 요시나가 사유리
1962년바이쇼 치에코, 하마 미에, 하마다 미츠오, 스가타 미치코, 치바 신이치, 야마모토 케이
1963년이즈미 마사코, 카가 마리코, 키타오오지 킨야, 나카가와 유키, 나카오 미에, 타카다 미와, 타카하시 코지
1964년후지무라 시호, 혼마 치요코, 마츠모토 하쿠오, 카토 고, 카야마 요시코, 마츠바라 치에코, 요시무라 지츠코
1965년에나미 쿄코, 후지 스미코, 나이토 요코, 오가와 마유미, 타케와키 무가, 와타리 테츠야
1966년구리주카 아사히, 구로사와 토시오, 오오하라 레이코, 야마구치 타카시, 야마모토 요코, 오오쿠스 미치요
1967년아즈사 에이코, 쿠리하라 코마키, 나카야마 진, 오가와 토모코, 사카이 와카코, 스기 료타로
1968년이쿠타 에츠코, 미네기시 토오루, 나카야마 마리, 오카 미츠코, 타카하시 에츠시, 타니 하야토
1969년아츠미 마리, 오키 마사야, 오자키 나나, 타이치 키와코, 타카하시 노리코, 타치바나 마스미

197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0년하라다 다이지로, 모리타 겐사쿠, 나츠 준코, 오카다 유스케, 오카모토 노부토, 사카이 마사아키, 사토 오리에, 타케하라 에이코, 우메다 토모코, 와타세 츠네히코, 야나미 에이코
1971년미개최
1972년이케 레이코, 콘도 마사오미, 사카키바라 루미, 타카하시 케이코, 미후네 시로, 야마구치 카린, 요시자와 쿄코
1973년우츠노미야 마사요, 스기모토 미키, 시가키 타로, 마츠자카 케이코, 무라노 타케노리, 야마모토 센, 타나카 마리, 후지오카 히로시, 혼다 미치코, 마키 히로코
1974년아사다 미요코, 코즈에 히토미, 시마다 요코, 세키네 세츠코, 니시나 아키코, 하기와라 켄이치, 미우라 토모카즈, 모모이 카오리, 다이몬 마사아키, 타카하시 요코, 나카지마 유타카
1975년아키요시 쿠미코, 쿠사카리 마사오, 이케가미 키미코, 단 후미, 시호미 에츠코, 나카무라 마사토시, 하기오 미도리
1976년히가시 테루미, 오카다 나나, 오오타케 시노부, 다나카 겐, 카타히라 나기사, 네즈 진파치, 미츠바야시 쿄코, 카츠노 히로시, 사오토메 아이, 타키가와 유미
1977년아사지 요코, 이와키 코이치, 에토 준, 하라다 미에코, 마야 쿄코
1978년아라이 하루미, 아사노 유코, 이노우에 준이치, 시미즈 켄타로, 나츠키 요코, 타케시타 케이코, 타케다 테츠야, 나가시마 에이코
1979년쿠니히로 토미유키, 나가시마 토시유키, 후지 마리코, 모리시타 아이코, 유리 치카코

198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80년쿠마가이 마미, 코테가와 유코, 시바타 쿄헤이, 마츠다이라 켄, 미야우치 준
1981년카네다 켄이치, 칸자키 아이, 키시모토 카요코, 타키타 사카에, 히구치 카나코
1982년카가 다케시, 사나다 히로유키, 다나카 유코, 나츠메 마사코, 후루오야 마사토
1983년카자마 모리오, 콘노 미사코, 나카이 키이치, 나토리 유코, 류 다이스케
1984년사토 코이치, 토키토 사부로, 나카이 키에, 하라다 토모요, 야쿠쇼 코지
1985년이시하라 마리코, 에노키 타카아키, 와타나베 토루, 후지타니 미와코
1986년키쿠치 모모코, 킷카와 코지, 사와구치 야스코, 야나기사와 신고
1987년사이토 유키, 진나이 타카노리, 나카야마 미호, 야스다 나루미, 와타나베 켄
1988년고쿠쇼 사유리, 토미타 야스코, 고토 쿠미코, 미나미노 요코, 나카무라 토오루
1989년아소 유미, 오가타 나오토, 타카시마 마사히로, 미카미 히로시, 와카무라 마유미

199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90년이모리 미유키, 스즈키 호나미, 미나미 카호, 모토키 마사히로, 야나기바 토시로
1991년쿠도 유키, 타카시마 마사노부, 나카지마 토모코, 노무라 히로노부, 마키세 리호
1992년이시다 히카리, 센도 노부코, 와쿠이 에미, 나가세 마사토시, 요시오카 히데타카, 다나카 미노루
1993년카토 마사야, 시미즈 미사, 아카이 히데카즈, 유키 나에, 카라사와 토시아키
1994년사쿠라이 사치코, 와시오 이사코, 스미다 유키, 츠츠이 미치타카, 하기와라 마사토, 무라타 타케히로
1995년야마구치 토모코, 스즈키 안즈, 하다 미치코, 키시타니 고로, 토요카와 에츠시, 기무라 타쿠야
1996년토키와 타카코(대상), 츠루타 마유, 잇시키 사에, 나가사와 토시야, 타카하시 카츠노리, 시이나 킷페이
1997년마츠 다카코(대상), 이이지마 나오코, 세토 아사카, 카미카와 타카야, 니시무라 마사히코
1998년칸노 미호(대상), 키무라 요시노, 다나카 미사토, 아사노 타다노부, 우치노 세이요
1999년마츠시마 나나코(대상), 카시와바라 타카시, 카네코 켄, 사카이 미키, 후카다 쿄코

200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10년대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20년대 수상자






마츠자카 케이코
松坂(まつざか 慶子(けいこ | Keiko Matsuzaka
파일:MatsuzakaKeiko_art.jpg
한국명한경자 (韓慶子)
출생1952년 7월 20일 (71세)
도쿄도 오타구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1]
본관청주 한씨
신체162cm, A형
가족어머니[2], 남동생
직업배우, 가수
데뷔배우1967년 <울트라 세븐>[3]
가수1979년 <사랑의 수중화>

1. 개요
2. 어린 시절
3. 활동
4. 여담



1. 개요[편집]


일본배우이자 가수. 한국계 일본인으로 재일교포 2세이다. 대구 출신 재일교포아버지 한영명(마츠자카 히데아키)씨와 일본인 어머니 츠네코와의 사이에서 1남 1녀 중 맏딸로 태어났다. 따라서 재일 한국인 2세보단 한국계 일본인이라고 하는 것이 정확하다. 그러나 태어났을 당시에는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가 일본 국적으로 귀화한 것은 맞다.


2. 어린 시절[편집]


도쿄 도 오타구[4]에서 미숙아로 태어났다. 모유수유도 못 할 만큼 약해 병원 왕래도 잦았다.

5살 무렵 아버지의 권유로 피아노, 노래 등을 배웠다. 또한 스스로 발레를 배우고 싶어해 부모가 데려다 준 극장에서 을 따라하며 놀았다. 그 이후 피아노, 아동 무용을 배우기 위해 호두 예술 학원에 다닌다. 마츠자카의 아버지는 여자도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으나 정작 마츠자카는 의욕이 없었다고 한다.

어릴 때 키가 커서 별명이 ‘땅두릅의 대목’이었고 운동신경도 좋아 남자아이와도 활발하게 노는 아이었다고.


3. 활동[편집]


1960년에 어린이 합창단 활동을 시작해서 중학교 3학년 때, ‘극단 해바라기’에 입단, 이후 1967년 ‘울트라 세븐’, ‘닌자 핫토리군’, ‘닌자괴수 짓포’로 텔레비전에 첫 출연을 하며 아동 배우가 되었다. 이 극단에서 활동을 하다가 17세때 스카우트 되어 1970년에 "다이에이"로 본격적으로 영화배우 데뷔를 했고, 1972년에 쇼치쿠로 이적했다.

사랑의 수중화 (당시 27세)
가수로도 활동하였는데, TBS 테레비 드라마 시리즈 ‘수중화’(이츠키 히로유키 작)의 테마곡 ‘사랑의 수중화 (愛の水中花)’를 불렀고, 바니걸 의상[사진]으로 섹시 여배우 이미지를 굳혀 스타로 떠오른다. 그러나 ‘사랑의 수중화’는 마츠자카가 가수로서 히트한 유일한 노래였다. 워낙 본업이 가수가 아닌 배우이기도 하고.

여기서 얻은 인기로 2, 30대이던 1970~80년대 일본 연예계를 주름잡던 청춘 스타로 등극, 각종 드라마, 영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도 출연했다. 청순하면서도 관능적이며 섹시한 톤을 지닌 이중적 이미지로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연기자가 되었다.

1980년대엔 영화 쪽에서 이름을 높였다. 주로 후카사쿠 킨지가 감독한 영화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았는데, ‘카마타 행진곡’, ‘청춘의 문’, ‘8인의 사무라이 전설’ 등이 대표적이다. 일본을 대표하는 서민극 프랜차이즈인 "남자는 괴로워" 시리즈에도 출연하며 위치를 확고히 했고, 1990년엔 오구리 고헤이 감독의 "죽음의 가시"로 여러 영화상을 수상했다. 칸 영화제 그랑프리를 수상했을 정도였고 연기 평도 상당히 좋았다.

전성기를 맞은 마츠자카는 광고 촬영도 많이 했다. 그 시작은 18살에 찍었던 화장품 광고. 이후 라면, 보온병, 자동차, 카레 등 다양한 광고에 출연했다. 중년에 접어든 후에도 그녀는 꾸준히 CF 모델로 활동하고 있다.

2000년에 "도쿄 전화"의 CM를 가진 주부를 코믹하게 연기해 새로운 이미지를 보여주었고, 2002년에는 헤어누드 사진집 "벚꽃 전설"을 찍어 히트했다. 그것도 나이 51살에 말이다! 2005년 가을에 텔레비 아사히 방송으로 방송된 드라마 ‘숙년 이혼’의 주연을 맡아, 이혼 후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는 주부로 호연했다. 최근에는 차분한 어머니나 아내 역을 많이 맡는다.

이외에 아오이 유우가 나왔던 "하와이언 레시피"(2009)에 출연하기도 하고, 2004년엔 하리수와 함께 ‘하리수 도색’에도 출연했다.

2013년에 개봉한 GARO 창곡의 마룡에서 최종보스인 쥬담 역을 맡았다. 연기 커리어 처음으로 와이어 액션에 도전했다고. 2014년도에는 아버지의 모국인 한국을 방문해 중앙대학교에서 연극 공연을 하기도 하였다.#

2018년에 개봉한 인어가 잠든 집에서는 주인공 하리마 카오루코의 친정어머니 치즈코 역을 맡았다. 외손녀딸의 사고를 놓친 일로 죄책감에 빠져있는 연기를 해서, 오열 연기를 선보이기도 했다.

4. 여담[편집]


  • 그녀가 출연한 크리넥스 CF가 21세기 떠들썩한 도시전설이 된 바 있다. 광고 콘셉트 자체도 그렇고 저화질 영상과 조금 음산한 음악 때문에 화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 결혼에 반대하는 부친이 연일 와이드쇼에 출연해 화제가 되었다. 부친은 대구 출생으로 15세에 현해탄을 건너 일본에 와서 일본 공장에서 노동자로 일하다가 일본인 공장주와 근로자들부터 조센징이라는 온갖 모멸을 받고, 나가사키현의 지옥섬 다카라지마에 광부로 끌려가 갖은 고초를 겪다가 떠내려온 통나무를 붙잡고 탈출한 인물이었다. 온갖 차별과 싸우면서도 자식 교육에 공들였고 결과적으로 딸은 일본에서 톱 배우가 되었다. 그러나 딸의 결혼 뒤 재산문제 등으로 마찰이 끊이지 않아 방송에 출연한 것이라고 한다. [5] 비슷하게 반대하던 어머니하고도 절연한 상태였으나 아버지가 2007년 사망하면서 화해해, 지금은 가족이 어머니랑 같이 살고 있다고 한다.

[1] 결혼 후 귀화하였다.[2] 아버지는 2007년 별세[3] 29화에서 우주세균 다리가 기생한 '카오루'라는 소녀로 첫 출연했다.[4] 작은 공장이 들어선 도쿄의 공업지대[사진] 파일:20220223s00041000224000p_view.webp [5] 심지어 마츠자카 케이코의 아버지였던 마츠자카 히데아키는 케이코의 남편인 하루히코를 사위로 인정하지 않으며 딸 내외와 대화조차 하려 하지 않았다. 그런데 마츠자카 일가가 벌이고 있는 골육상쟁극도 따지고 보면 일본 사회내에서의 재일교포 차별이 가져온 비극이나 다름없긴 하다. 그는 이 자신처럼 차별받는 인간이 되지 않도록 정성을 쏟아부었으나 딸이 일본인과 결혼하자 배신감을 느껴 갈등이 시작됐기 때문이다.